티스토리 뷰

반응형

달러는 대표적 안전자산. 시장의 불확싱성이 커질 수록 주목받고 있는 투자처 중 하나입니다. 
최근 다럴 가치가 연일 상승하며 이와 관련 젊은층에서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은편. 또만 미국 중앙은행이 조기 금리 인상에 나설것이라는 전망, 오미크론 코로나 변이까지 우려되며 최근 다시한번 원달러 환율이 상승을 보여줍니다. 
대표적 달러 투자 방법 (예금, RP, ETF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달러투자방법

달러 투자방법 _ 예금.

대표적 달러 투자 방법 중 가장 직관적 투자방법인 은행 외화 예금.  환율이 떨어졌을때 돈을 입금하였다가 환율이 올랐을시 인출하여 그만큼의 환차익을 얻는 방법 입니다. 환차이에 대한 세금이 없기 때문에 외화 예금 투자자들이 많이 지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최대 5천만원까지 원금 보장도 된다는 점 또한 장점입니다. 

달러 투자 방법 _ 예금 장단점 알기 
장점 원금보장 환차익 비과세
단점  환전 수수료  낮은 수익률 

하지만 외화 예금의 경우 1.75% 환전 수수료 / 1 ~ 1.5%정도의 인출 수수료가 발생. 
은행 대부분이 달러 환전시 최대 90% 수수료 우대율을 적용해주고 있기도 하며 인출 수수료 입금 후 어느정도 기간이 지나면 면제해주는 경우도 있으니 은행마다 비교 후 본인에게 맞는 은행을 선택하시는게 바람직 합니다. 


최근 대부분 외화 계좌 없이 모바일 어플을 통해 간편히 달러를 환전할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보관은 최대 1만달러, 1회 또는 하루 환전할 수 있는 한도 또한 정해져 있습니다. 
위의 은행별 달러 간편 환전 보관 서비스 표를 참고 하셔서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달러 투자 방법 _ 달러 RP 

외화 예금의 낮은 수익률로 인해 좀더 높은 이자율을 대할 수 있는 달러 RP또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달러RP란 환매조건부채권상품으로 일종의 증권사 "달러예금"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증권사가 보유하고 있는 달러 표시 채권을 투자자에게 매도, 일정기간 후 약정 가격으로 증권사가 다시 매수하는 형태로은행의 예금이자 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비교적 안전합니다. 

많은 분들이 국내 주식 뿐아니라 요즘은 해외 주식 또한 투자처로 이용하고 있는 시점. 해외 주식 투자용으로 환전해둔 달러 예수금을 단기간 굴릴때 활용되어지기도 합니다. 

달러 투자 방법 _ 달러RP 장단점 
장점  환차익 비과세 비교적 안전함
단점  이자소득세 발생 

단, 이자 소득세가 발생 할 수 있으며 비교적 안전한편이지만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달러 투자 방법 _ 달러ETF 

위의 투자 방법보다 좀더 공격적으로 투자하여 수익을 얻고 싶은 분들은 달러 ETF를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재테크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번쯤 투자 경험이 있을법한 달러 ETF는 증권사의 홈트레이딩 서비스를 통해 주식과 마찬가지로 쉽게 매수,매도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달러 상승시 ETF 가격도 상승하여 수익이 나고, 하락시에는 손실 또한 발생, 주식과는 다르게 여러 종목으로 구성되어있어 분산 투자를 하기 용이합니다. 

달러 투자 방법 _ 달러 ETF
장점 낮은 수수료 인버스, 레버리지등 다양함
단점  배당 소득세 발생 
국내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달러 ETF 
KOSEF 미국달러선물 KODEX 미국달러선물 TIGER미국달러선물 인버스2X 
** 위 상품들은 보수 개념의 비용이 발생. KOSEF 미국달러 선물 연 0.37% , KODEX 미국달러 선물은 0.25%

단, 리스크를 감수해야될 부분이 크기 때문에 초보자들은 신중한 투자를 추천드립니다. 


달러 환율 전망. 

미국이 기준 금리 인상을 예고, 달러 환율은 강세를 보일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미 중 갈등 및 인플레이션 우려 등 또한 달러 환율 강세에 힘을 실어줄거라 예상되며 내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은 1,200원을 웃돌 가능성을 예고합니다. 

단, 연준의 한차례 금리 인상 후 달러화 강세가 누그러질것으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금리가 한차례 인상 후 유로존 경기 기대감이 살아나며 4분기는 달러 약세를 예상하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