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기준금리 1.25% 동결, 언제쯤 인상될까? (22.2.24일자)

by y.00 2022. 2. 24.
반응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인 22. 2. 24일 기준금리를 1.25% 동결하였습니다. 하지만 물가 급등에 따라 4~5월 인상될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앞으로 기준금리 동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준금리

 기준금리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물가와 경기변동에 따라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결정하는 금리를 말합니다. 기준금리를 인상하게되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오르고 , 인하하게되면 역시나 시중은행 금리도 내리게됩니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매월 두번째 목요일에 정하게 됩니다. 
기준금리를 내리게되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가계나 기업은 투자처를 활발치 찾게되며 은행 차입비용이 내려가기에 소비 및 투자가 활성화되어 경기가 회복되고 물가가 상승합니다. 반대로 기준금리를 올리게되면 시중에 돈이 묶이고 은행 차입비용이 올라가 과도한 투자가 물가 상승이 억제 , 거품낀 부동산,주식등이 진정되고 물가가 하락합니다. 

 기준금리 추이 현황

24일 현재 기준금리는 동결을 통해 1.25%를 유지하기로 한 결정이 발표되었습니다. 기준금리 추이 현황을 살펴보면 2020. 3. 16일 금통위에서 코로나로 인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한번에 0.50% 낮추는 빅컷을 단행하였습니다. 이때 금리는 1.25% → 0.75% 였으며 같은해 5. 28일 추가 인하 0.75% → 0.50%로 낮추었습니다. 
이후 9번의 동결을 거쳐 지난해 8월 15개월만에 0.25% 금리가 인상되었으며 11월과 올해 1월에도 0.25% 씩 두차례 상향하며 오늘도 금리가 오를거라 예상했지만 3차례 연속 인상은 피하게됐습니다. 

 물가상승으로 인한 금리인상. 

오늘 금리가 동결되며 앞으로의 금리 인상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4~5월경 다시한번 기준금리가 오를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최근 물가 급등세가 이어지며 금리 인상이 확실히 되고 있습니다. 

현재 물가상승 요인중 하나인 글로벌 공급병목현상에 개선점이 없으며 국제 유가 또한 상승중. 또한 코로나로 인해 보복소리까지 이어져 인플레이선 압력이 커져가고 있는 상태입니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사태까지 이어지며 국제 원자제, 농산물등의 가격이 상승함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엔 기준금리가 동결되었지만 물가등을 고려해보았을때 4월 또는 5월 인상이 단행될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수출과 소비위축이 급격하게 이어져 경기가 둔화된다면 금리은 다시한번 동결 할 가능성도 있겠습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일 알기.

직장에 근무중이신 분들은 대게 연말정산 신청을 마쳤을거라 생각됩니다. 세금을 토해내야되는 분들도 계시지만 반면 환급받는 분들 또한 많이 계십니다. 오늘은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일 언제

y-daily.tistory.com

 

 

테이퍼링 뜻 및 효과 ,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국내증시 영향은?

지난달 우려했던 테이퍼링 공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6%대를 기록하며 39년만에 최고치를 기록. 코로나19 팬더믹상황에 세계 각국이 유례없이 많은 돈을 투입, 인플레이션의 공포가 다가왔습

y-daily.tistory.com

 

반응형